판매량 예측, 재고 관리…명품업계도 AI 전환 박차 
판매량 예측, 재고 관리…명품업계도 AI 전환 박차 
  • 김다솜
  • 승인 2024.10.24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품산업협회 조사보고서 “대형 브랜드 80% AI에 중점”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보수적인 세계 명품 업계가 AI로의 체질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출하량을 예측해 민첩성을 높이는가 하면 제품 디자인 등에도 AI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포착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고가품과 기술, AI: 조용한 혁명’ 보고서를 통해 유명 명품산업 협회인 프랑스의 ‘코미테 콜베르’Comite Colbert)와 공동 진행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코미테 콜베르는 샤넬, 에르메스, 루이뷔통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 90여곳이 가입한 단체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미테 콜베르 회원 브랜드 중 38%가 ‘향후 3년간 AI를 10대 중점 사업 중 하나로 삼고 있다’고 응답했다. ‘AI가 3대 사업에 속한다’고 답변한 곳도 3%를 차지했다. ‘주요 사업 중 하나로 AI를 추진 중’이라는 브랜드는 44%에 달한다. 

반면 ‘AI는 중요 목표가 아니다’라고 밝힌 곳은 16%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연매출 4조4000억원 이상의 대형 명품 브랜드는 AI가 중점 사업 중 하나라고 답한 비중이 78%에 달했다”며 “조사에 응한 브랜드들은 평균 5개 이상의 AI 도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명품업계는 AI를 어떻게 활용할까 

AI의 사용처(use case)를 묻는 질문에서 60%의 브랜드가 ‘판매량 예측 도구’를 도입 또는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다.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한 AI 기반의 내부 지식·정보 관리’에 활용한다는 응답도 53%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마케팅 콘텐츠의 자동 생성’과 ‘재고 할당’(각각 50%), ‘판매 직원과 고객 사이의 개인화 소통’(46%)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이외에도 ‘모조품 단속’(35%), ‘제품 디자인 활용’(34%), ‘챗봇 도입’(29%), ‘운영 자동화’(28%) 등이 언급됐다. 

보고서는 다만 명품 업계의 AI 활용 실태에 대해 ‘쏠림’ 현상이 있다는 진단을 내렸다. 가령 판매량 예측이나 재고 할당 등 현재 활용도가 높은 AI는 2010년대에 개발된 빅데이터 기반 기술로 시장의 검증과 신뢰도가 충분히 쌓인 상황이다. 

반면 챗GPT로 대변되는 최신 생성 AI의 경우, 마케팅 콘텐츠 제작 등 소수 사례를 제외하면 도입 실적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명품 산업이 디자인과 사업 노하우 등 지적재산(IP) 보호를 중시하는 경향과 연관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생성 AI를 도입하기 위해선 내부 데이터를 대거 입력해 훈련을 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사 IP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매우 민감한 영역인 제품 디자인과 개발 단계에서도 시제품 시각화 등에 최신 AI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10여년 전 명품업계가 전자상거래 등의 영향으로 큰 디지털 전환을 겪었던 것처럼 AI가 명품산업에 근원적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 4월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발간한 ‘인공지능(AI), 명품 매장의 미래를 바꾸다’ 보고서는 최근 명품 업계의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명품 업계에서 생성형 AI는 이미 활약 중이다. 스위스 명품 그룹 리치몬트(Richmont)는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A 기반 대규모 고객 데이터를 수집, 고객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버버리(Burberry)는 AI 기반 명품 감별 기업 엔트루피(Entrupy)가 제공하는 이미지 인식 및 인증 서비스를 채택, 위조품을 식별한다. 텐센트(Tencent)와 협력해 첫 소셜 스토어 버버리 오픈 스페이스를 개소하기도 했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는 구글 알파벳의 AI기술 지원을 받아 브랜드별 수요예측 및 재고 관리, 최적 상품 추천 기능 등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