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가구 취업 비중과 맞벌이 가구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의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발표했다.
먼저, 작년 하반기 1인 가구는 738만8천가구로 이중 취업한 가구는 467만5천가구였다. 전년보다 12만 가구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한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63.3%로 0.2%p 상승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다.
1인 취업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30∼39세가 109만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60세 이상 가구가 106만6천가구로 그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9만7천가구 늘며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만가구를 웃돌았다. 60세 이상 1인 가구 중 취업한 가구 비중도 39.5%로 1.7%p 상승했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 소득은 월평균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23.7%, 400만원 이상 17.5%,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12.9% 순이었다.
특히, 월급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중이 11.1%로 전년보다 0.4%p 늘었다. 임금근로자인 1인 가구 10가구 중 1가구는 한 달에 100만원도 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지난해 취업 호조 속에서 단기로 일하는 근로자가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분석했다.
다음으로 지난해 맞벌이 가구는 26만8천가구 늘어난 611만5천가구로 처음 600만가구를 돌파했다. 맞벌이 비율은 2019년 45.5%에서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020년 45.0%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45.9%에서 2022년 46.1%로 상승한 뒤 엔데믹으로 접어든 지난해는 50% 가까이 육박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코로나19로 인해 육아부담이 늘어나면서 맞벌이를 포기됐다가 엔데믹을 맞이하면서 다시 고용시장이 반등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30대(58.9%), 50대(58.0%), 40대(57.9%), 15~29세(52.6%), 60세 이상(32.5%) 순이었다. 전년 대비 맞벌이 비중 상승 폭은 30대(4.7%p), 50대(2.8%p), 40대(2.7%p) 순으로 높았다.
또한, 자녀 수 1명인 가구는 전체 53.9%가 맞벌이를 했고, 2명(53.3%), 3명 이상(49.5%) 등 자녀가 많으면 맞벌이 가구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육아로 인해 부부 중 한명은 일을 하기 보다 가정에서 육아와 살림을 하는 선택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