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 1인가구 중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 노령층”
앞으로 13년 후 전체 가구에서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1인가구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진 가운데 특히 고령층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의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을 발표했다. 이 통계는 최근의 가구 변동 추이가 미래에도 일정 기간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작성된 것이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가구는 2166만4000가구로 전년대비 1.84% 증가했다. 국내 가구 수는 2041년 2437만2000가구로 정점을 찍고, 2052년 2327만7000가구까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가구증가율은 2042년부터 꺾여 2052년에는 0.73%를 기록할 전망이다.
총인구는 이미 2020년 이후 줄어들고 있지만 1인가구 증가 등 가구 분화로 인해 가구 수는 2041년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 3~4인으로 구성된 가구가 1인가구로 나뉘면서 인구는 줄어들지만 가구는 증가하는 것이다.
평균 가구원수는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2022년 2.26명에서 점차 감소해 2052년 1.81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1인가구, 1000만까지 늘어난다
1인가구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통계청은 1인가구가 2022년 738만9000가구에서 2052년 962만가구로 30년간 200만 이상 불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연평균 7만4000가구씩 증가한다는 것이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34.1%에서 2032년 39.2%로 10년 만에 5%p 이상 늘어난다. 그러다 2037년 40.1%로 40%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점 2인가구 비중(33.0%)까지 모두 더하면 4집 중 3집은 혼자 또는 둘이 사는 소형가구가 되는 셈이다.
다만 인구 감소 영향으로 인해 1인가구 비중은 2042년부터 2052년까지 10년간 40.8%에서 41.3%로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된 1인가구 증가속도는 2년 전 ‘장래가구추계: 2020~2050년’보다 더 가팔라진 것이다. 직전 추계에서는 2050년 1인가구 비중을 39.6%로 제시했으나, 이번 추계에서는 41.2%로 더 커졌다.
1인가구 증가는 특히 고령층에서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2022년에는 1인가구 중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18.7%로 가장 많고 30대(17.2%), 60대(16.6%) 순으로 이어진다.
반면 2052년에는 1인가구 중 80세 이상이 23.8%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 1인가구에서 65세 이상의 비중은 2022년 26.0%에서 2052년 51.6%로 2배가량 증가한다. 1인가구의 절반 이상을 노년층이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