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스 물가 벗어났다"...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년비 '보합'
"마이너스 물가 벗어났다"...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년비 '보합'
  • 이지원
  • 승인 2020.07.02 2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월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를 기록하며 마이너스 물가에서 벗어났으나, 여전히 초저물가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월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6월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7(2015=100)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보합(0.0%)을 나타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5월(-0.3%) 역대 두 번째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했으나, 한 달 만에 마이너스 물가를 벗어났다. 하지만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보면 -0.01%로, 사실상 하락했다. 초저물가가 이어지고 있는 현 상황에 반전을 이루어냈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평가다. 

한편 통계청 안형준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노동기구(ILO) 매뉴얼 상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가 공식 물가라 0.0%로 보는 게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6월 소비자물가가 한 달 만에 마이너스 물가에서 벗어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0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1.5%를 기록한 데 이어 3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미치기 시작한 지난 4월부터는 0.1%로 0%대로 하락하더니, 5월에는 -0.3%를 기록하며 마이너스 국면에 들어섰다. 마이너스 물가는 통계를 작성한 1965년 이후 -0.4%를 기록했던 2019년 9월 처음 발생한 것으로, 이후 8개월 만인 2020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또 한 번 -0.3%를 기록하며 마이너스 국면에 들어섰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이 혼재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석유류가 15.4% 하락했으나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로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10.5% 증가하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4%p 기여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휘발유(-13.8%), 경유(-19.3%), 자동차용 LPG(-12.1%), 등유(-16.2%) 등 석유류가 15.4%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68%p 끌어내렸다. 

더불어 공공서비스는 경북·강원 고등학교의 1학년 등록금 감면 및 지자체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으로 인해 하락폭이 1.9%에서 2.0%으로 확대됐다. 석유류 국제유가 하락과 공공서비스 물가 하락이 전체 물가에 미친 기여도는 -0.96%p에 달한다.

이를 일부분 끌어올린 건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인한 농축수산물 물가의 상승이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이른바 '집밥' 수요가 늘며 돼지고기(16.4%), 국산 쇠고기(10.5%) 등 축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10.5% 상승하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4%p 기여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농산물(4.6%) ▲축산물(10.5%) ▲수산물(6.9%) 가격 등이 모두 크게 오르며,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농산물의 물가 역시 상승했다. 자연스럽게 소비자 체감물가는 도리어 높아졌다. 

더불어 내구재 중에서는 쇼파(12.1%), 식탁(10.8%) 등 가구의 물가가 올랐다. 이 역시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2019년 2월(1.1%) 이후 1년 4개월째 0%대를 기록하고 있다. 근원물가는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표로, 기조적인 저물가 현상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

1년 전보다 0.6% 오르긴 했으나 이러한 상승 기조에는 코로나지원금 효과로 인한 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크기 때문에 '경기 회복 신호'로는 볼 수 없을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7월 물가도 지난달과 엇비슷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 심의관은 "6월까지 오른 국제유가가 7월 물가에 반영되며 석유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보며 "소매판매가 조금 살아나고 서비스업 생산이 늘어나며 수요 증가가 일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물가 상승 요인"이라도 전망했다. 또한 "하락 요인은 교육부문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으로 인한 수요 감소"라고 설명했다.

 

(데일리팝=이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