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농식품 소비층이 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70% 가까이 폭증하기도 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인해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도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2010년~2019년까지 누적된 전국 1486가구의 가계부를 토대로 그간 농식품 소비 경향이 어떻게 변화돼 왔는지 분석한 결과를 8월 19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대의 농식품 구매액은 68%, 30대는 30% 증가했다. 타 연령대에 비해 2030 세대의 농식품 구매액이 가파르게 나타나며 젊은층이 농식품 구매의 새로운 주체로 떠올랐다는 것이다.
특히 두드러지는 것은 가공식품과 축산물 구매다. 20대의 가공식품 구매액은 지난 10년간 76% 증가했다. 아울러 2030의 축산물 구매 비중은 전체의 46.3%에 달해 4050세대(35.7%)보다 약 10%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건강에 대한 관심은 연령층이 높을수록 컸다. 특히 60대 이상 소비자는 지난 10년간 블루베리(59%), 견과류(31%), 죽류(31%)의 소비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난 10년 동안 신선·편이 식품, 미니 농산물, 시판 김치, 가정간편식 등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농식품의 구매도 증가했다. 즉석밥, 즉석식품, 냉동식품의 구매는 전 세대에 걸쳐 늘어났으며, 2030세대에서는 반찬류 구매액이 37% 증가하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과 코로나19의 발생에 맞춰 온라인과 직거래 구매도 늘어났다. 아울러 가공식품의 경우 가구당 구매액은 2015년 월 14만 6000원에서 2019년 17만 5000원으로, 20% 가량 증가했다.
농식품을 구매할 때 주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안전성과 건강, 영양성분 등을 꼽았다. 뒤를 이어 소량 다비도 구매와 자연산 농식품, 다이어트 등의 순이었다.
농진청은 이러한 변화의 요인으로 1인가구의 증가 추세와 젊은 세대 사이에서의 '집밥' 열풍 등을 꼽았다. 농진청 관계자는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는 외부에서 요리된 음식을 집에서 간단히 조리해 먹는 패턴이 늘어나고 있다"며 "자기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소비가 2030 사이에서 벌어지는 것"이라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