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 트렌드 변화, 맥주·소주 대신 혼자 마시는 ‘홈(Home)술’
주류 트렌드 변화, 맥주·소주 대신 혼자 마시는 ‘홈(Home)술’
  • 김세원
  • 승인 2024.02.15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ettyimagebank
ⓒgettyimagebank

1인가구가 국내 소비 시장의 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전국 1인가구는 2018년 584만 9000가구에 이어 2022년 750만 2000가구로 거의 70% 가까이 증가했다. 2022년 기준 1인가구의 연간 소득 역시 3010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44.5% 수준.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 1인가구의 월 평균 소비지출 역시 2022년 기준 155만 1000원으로 전체 가구 대비 58.8% 수준에 달했다.

향후 유통가에서 바라보는 소비 주체로서 1인가구의 중요도가 이전보다 더욱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풀이되는 이유다.

주류 시장 역시 예외가 아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레스토랑, 식당 등에서 판매되는 영업용 맥주 판매량은 2018년 7억400만 리터에서 2022년 5억9600만 리터로 15.4% 감소했다. 영업용 소주 판매량 역시 같은 기간 7억4600만 리터에서 5억8500만 리터로 21.6% 줄었다.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은 '혼술', '홈술'로 대표되는 캐주얼한 주류 소비 문화다. 최근 새로운 소비권력으로 대두되는 Z세대 등 젊은 주류 마니아들을 중심으로 '좋아하는 술을 적당히 마시기'를 미덕으로 삼는 문화가 유행하기 시작하며 기존의 맥주와 희석식 소주 등에 대한 인기가 조금씩 사그라들고 있다.

그 가운데 국산 브랜드의 선전 또한 두드러지고 있다. 전통 증류주에 대한 기존의 고루한 이미지를 뒤바꾼 ‘원소주’와 ‘화요’에 이어, 각 지역 관광을 이끄는 또 하나의 로컬 콘텐츠이자 플레이스, 로컬 굿즈로 자리매김한 지역 수제 맥주의 활약도 눈길을 끈다. 2030 세대의 입장에선 가격부터 난관이었던 위스키 등 고급 양주 역시 ‘하이볼’ 등 캐주얼한 레시피를 통해 도수를 낮추고 대중 접근성을 높이며  2030 세대의 주요 소비 트렌드인 '이코노럭스(Econo-Lux, 경제적 럭셔리. 소비자가 자신의 기준에 따라 경제적으로 합리적이면서도 자신에게 큰 만족감고 행복감을 주는 소비를 선택하는 현상)'를 직격했다.

이에 힘입어 글로벌 위스키 브랜드의 국내 시장 진출 사례와 관심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글렌피딕’, ‘발베니’에 이어 ‘카발란’ 위스키로 유명한 대만 위스키 업계와 ‘산토리’, ‘짐빔’을 위시한 일본, 더 나아가 인도 위스키 업계에서도 한국 주류 소비 시장의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덕분에 작년 위스키 국내 수입량도 사상 최대인 3만 톤을 넘어섰다.

그렇다면 위스키 다음의 '대세 주류'는 어떤 주종이 등장할까. 업계 일각에서는 데킬라의 선전을 점치고 있다.

국내 소비 시장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선행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 주류 소비 시장의 향방을 보면, 위스키 다음의 주류 트렌드를 이끌 재목으로 멕시코의 증류주 데킬라(Tequila)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미국의 주류 통계 기관 IWSR의 2023년도 주류 시장 보고서에도 데킬라는 보드카와 위스키를 제치고 증류주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대표적인 고도수 주류에 속하는 데킬라이지만, 위스키 소비를 거치며 국내 주류 소비 문화가 고도주와 음료를 섞어 마시는 새콤달콤한 믹싱주 트렌드로 진일보한 만큼, 데킬라에 대한 거부감도 많이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국내 데킬라 수입 시장 역시 매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국내 대형 주류 기업에서도 최근 글로벌 위스키 브랜드 ‘커티삭’에 이어 고급 데킬라 브랜드 ‘코모스’를 수입런칭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코모스는 100% 블루 아가베(blue agave)로 만든 데킬라 브랜드로, 미국의 주류 전문 매거진 ‘더 테이스팅 패널 매거진(The Tasting Panel Magazine)’에서 데킬라 브랜드로는 최초로 100점을 받으며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기도 했다.

해당 기업 관계자는 “최근 미국의 젊은 층에서부터 데킬라의 인기가 가속화 되며 이 열풍이 한국으로 넘어오고 있는 추세”라고 말하며 “더욱 다양한 품목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사로잡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