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엔 이사비, 중장년엔 한끼 식사..1인가구 지원책도 연령별로 
청년엔 이사비, 중장년엔 한끼 식사..1인가구 지원책도 연령별로 
  • 김다솜
  • 승인 2022.06.21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ettyimagesbank
ⓒgettyimagesbank

국내 1인가구 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별로 1인가구 지원책도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다. 대개 비슷한 삶의 단계를 거치는 다인가구와 달리 1인가구는 연령과 성별, 직업 등 여러 요소에 따라 서로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갖게 된다. 

때문에 같은 1인가구라도 어떤 환경에 처한 누구냐에 따라 원하는 지원책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해당 지역 내의 1인가구의 주 연령대에 따라 서로 다른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세대별로 어떤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지 확인해보자. 

먼저 청년층에는 생활비, 월세 등 필요 비용 지원이 주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2만명에게 최장 10개월 간 월세 2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시행 중이다. 올해부터는 신청 가능 나이를 신청일 기준이 아닌 연도 기준으로 설정, 생일이 지났거나 생일이 되지 않아 신청자격에서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서울시는 만 19~39세 이하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보증금 3억 이하 월세 79만원 이하의 전·월세 이자를 지원하는 사업도 시행했다. 지원금리는 2%로, 만약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4%인 경우 본인은 2%를 부담하고 나머지 2%는 서울시에서 부담하는 조건이다.

서울 마포구는 청년 1인가구들에게 40만원 상당의 이사비를 지원하는 ‘마포손길’을 운영 중이다. 관내 이사를 하거나 타 자치구에서 마포구로 이사하려는 청년 1인가구 중 매월 15가구를 선정해 이사비 지원과 함께 정리컨설팅 프로그램 참석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 종로구는 ‘장보고데이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 청년 1인가구가 2~4명으로 모임을 구성해 관내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면 페이백 등의 혜택을 주는 사업이다. 증빙자료 제출시 회당 100명씩 8회에 걸쳐 총 800명에게 인당 5000원부터 최대 1만5000원까지 종로사랑상품권으로 페이백 해준다. 

중장년엔 소셜다이닝, 급식지원 등 한 끼 식사를 지원하는 사례가 많다. 

서울 중구의 경우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중장년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 ‘행복한 밥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집밥 요리를 소개하고 우수 참여자에게는 집에서 실습해볼 수 있도록 추가 식재료를 제공한다. 

월 4회로 진행되는 해당 프로그램 외에도 수시로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 20일에는 ‘막걸리에 잘 어울리는 안주 만들기’를 테마로 한 소셜다이닝을 진행했다. 또 중장년 1인가구가 만든 음식을 지역내 홀몸노인과 나누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서울 성북구는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친환경 요리교실 ‘혼스쿠킹’을 진행하고 있다. 요리교실과 먹거리교실을 운영해 중장년 1인가구의 식생활을 개선하고 사회활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다. 수강 후 소분한 식재료를 밀키트 형식으로 받아 집에서 실습도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친환경 지역특산품을 활용하고 수강생을 대상으로 농촌체험활동도 전개한다. 

천안시는 2020년 진행한 중장년 1인가구 실태조사 결과 식사지원 욕구가 높게 파악됨에 따라 지난해부터 1인가구 급식지원(밀키트) 사업을 펼치고 있다. 주2회 밀키트를 배송하고 있으며, 배송 당시 지난 물품이 남아있으면 배송인력이 행정복지센터에 알려 고독사를 예방한다. 

해당 사업의 만족도 조사 결과 대상자들의 7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1%에 그쳤다. 

홀몸노인들에게는 돌봄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I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사업은 전국 곳곳에서 진행되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서울시의 스마트플러그는 가정 내 자주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연결해 전력량을 실시간 확인하고, 일정시간 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담당 복지플래너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다. 

서울시는 기존 설치·운영 중인 2709가구(3351개)에 더해 올해 2000가구에 스마트플러그를 추가 설치, 총 4700가구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가벼운 말동무와 일정 알림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AI 돌봄 로봇, 주기적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는 AI 케어콜 서비스 등이 지자체 지원책으로 시행되고 있다. 

 


관련기사